top of page
검색

20250109 [특새묵상]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 For God so Loved the World (요/Jhn 3:10~21)



3:10 예수께서 그에게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의 선생으로서 이러한 것들을 알지 못하느냐

3:11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우리는 아는 것을 말하고 본 것을 증언하노라 그러나 너희가 우리의 증언을 받지 아니하는도다

3:12 내가 땅의 일을 말하여도 너희가 믿지 아니하거든 하물며 하늘의 일을 말하면 어떻게 믿겠느냐

3:13 하늘에서 내려온 자 곧 인자 외에는 하늘에 올라간 자가 없느니라

3:14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 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

3:15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10 “You are Israel’s teacher,” said Jesus, “and do you not understand these things? 11 Very truly I tell you, we speak of what we know, and we testify to what we have seen, but still you people do not accept our testimony. 12 I have spoken to you of earthly things and you do not believe; how then will you believe if I speak of heavenly things? 13 No one has ever gone into heaven except the one who came from heaven—the Son of Man. 14 Just as Moses lifted up the snake in the wilderness, so the Son of Man must be lifted up, 15 that everyone who believes may have eternal life in him.”


3: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3:17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

3:18 그를 믿는 자는 심판을 받지 아니하는 것이요 믿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의 독생자의 이름을 믿지 아니하므로 벌써 심판을 받은 것이니라

3:19 그 정죄는 이것이니 곧 빛이 세상에 왔으되 사람들이 자기 행위가 악하므로 빛보다 어둠을 더 사랑한 것이니라

3:20 악을 행하는 자마다 빛을 미워하여 빛으로 오지 아니하나니 이는 그 행위가 드러날까 함이요

3:21 진리를 따르는 자는 빛으로 오나니 이는 그 행위가 하나님 안에서 행한 것임을 나타내려 함이라 하시니라

16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17 For God did not send his Son into the world to condemn the world, but to save the world through him. 18 Whoever believes in him is not condemned, but whoever does not believe stands condemned already because they have not believed in the name of God’s one and only Son. 19 This is the verdict: Light has come into the world, but people loved darkness instead of light because their deeds were evil. 20 Everyone who does evil hates the light, and will not come into the light for fear that their deeds will be exposed. 21 But whoever lives by the truth comes into the light, so that it may be seen plainly that what they have done has been done in the sight of God.


 


개와 고양이는 일반적으로 사이가 좋은 않은 것으로 묘사됩니다. 그 이유는 의사소통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개는 좋을 때 꼬리가 올라가지만, 고양이는 반대로 기분이 나쁠 때 올라갑니다.

그러니 개와 고양이 사이가 좋으려면 어릴 때부터 같이 살면서 서로의 언어를 배워야 할 것입니다.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로 소통 방식이 다르거나, 표현이 다를 때 서로를 오해하게 됩니다.

부부나 친구들 사이에 서로의 소통 방식을 알고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그런 점에서 하나님이 우리 인간과 소통할 수 있다는 자체는 너무도 큰 은혜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많이 많이 사랑하십니다.

노리개가 아닌, 부부와 같은 관계, 부모와 자녀와 같은 관계를 원하셔서 우리를 창조하신 것입니다.

그런데 아내와 같은 존재, 자녀와 같은 존재인 인간이 음란하게 우상숭배를 하고, 부모에게 불순종하듯 불순종하면 얼마나 하나님의 마음이 아프실까요? 또한 하나님의 이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알아주지 않으니 얼마나 답답하실까요?

 

Dogs and cats are often described as not getting along well. The reason is that their ways of communication are different. For example, dogs raise their tails when they are happy, while cats raise theirs when they are upset.

Therefore, for dogs and cats to get along, they need to live together from a young age and learn each other's "language."

The same applies to people. When communication styles or expressions differ, misunderstandings can arise.

It is very important for couples or friends to understand and learn each other's ways of communicating.

In this sense, the fact that God can communicate with us humans is a tremendous grace.

God loves us deeply and abundantly.

He created us not as mere objects but to have a relationship like that of spouses or that of parents and children.



땅의 일은 알아야 하지 않니? (10~12절)

니고데모는 중생에 대한 말씀을 듣고 놀라서 반신반의하며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 다시 질문합니다(9). 그러자 예수님은 너는 이스라엘의 선생으로서 이러한 것을 알지 못하느냐(10) 라고 반문하십니다.

여기서 선생이라는 호칭 앞에 정관사가 붙어 있습니다. ὁ διδάσκαλος, 호 디다스칼로스, 그 선생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학자들은 니고데모가 의장과 같은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말합니다. 어떻게 이스라엘의 율법, 성경교사로서 중생에 대해서 모르는가 라는 질책성 질문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신학과 같이 정교한 지식은 아니어도 적어도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다음과 같은 말씀을 연구하면 말입니다.

 

맑은 물을 너희에게 뿌려서 너희로 정결하게 하되 곧 너희 모든 더러운 것에서와

모든 우상 숭배에서 너희를 정결하게 할 것이며 또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거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 또 내 영을 너희 속에 두어

너희로 내 율례를 행하게 하리니 너희가 내 규례를 지켜 행할지라 (겔 36:25-27)

 

예수님은 우리는 아는 것을 말하고 본 것을 증언한다고 말씀하십니다(11). 주어를 복수로 사용한 것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습니다. 삼위 하나님, 예수과 세례 요한, 예수과 제자 들 등등

아마도 니고데모가 2절에서 “우리가 당신은…” 이라는 표현에 대한 응수로 해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니고데모는 바리새인 모두가 악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로 그렇게 표현했고, 예수님 역시 진영의 논리로 대화하면서, 니고데모가 말한 우리와 대조되는 우리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신앙은 표적을 보고 믿는 자들과 참 신앙을 가진 자들(아는 것, 본 것을 증언하는…)로 나뉘는 것입니다. 땅의 일(12)이란 인간에게 일어나는 일이며 바로 중생을 말합니다. 방금 이 일을 니고데모에게 말했지만 믿지 못합니다. 하물며 하늘의 일, 곧 하나님에게 일어난 일이며 바로 성육신을 의미합니다. 예수께서 앞으로 할 일, 성육신과 십자가를 얘기하면 너희가 어떻게 믿겠느냐는 입니다(12).

 

You must understand earthly matters, mustn't you? (John 3:10–12)

Nicodemus, astonished by Jesus' teaching about being born again, responds with skepticism and asks again how such a thing could happen (v. 9). Jesus replies, "Are you a teacher of Israel, and yet you do not understand these things?" (v. 10).

The Greek term for "teacher" here is preceded by the definite article: ὁ διδάσκαλος (ho didaskalos), meaning "the teacher." Scholars infer from this phrasing that Nicodemus likely held a prominent position, possibly as a leading figure or chairman. Jesus' question carries a tone of rebuke: How can someone who is a teacher of Israel's law and Scriptures not know about being born again?

Even if Nicodemus lacked the precise theological framework we have today, Jesus emphasizes that he should have at least understood the necessity of spiritual rebirth. This concept is reflected in passages such as Ezekiel 36:25–27:

"I will sprinkle clean water on you, and you shall be clean from all your uncleannesses, and from all your idols I will cleanse you. And I will give you a new heart, and a new spirit I will put within you. And I will remove the heart of stone from your flesh and give you a heart of flesh. And I will put my Spirit within you and cause you to walk in my statutes and be careful to obey my rules."

Jesus goes on to say, "We speak of what we know and testify to what we have seen" (v. 11). The use of "we" here has sparked various interpretations. Some suggest it refers to the Trinity, others to Jesus and John the Baptist, or Jesus and His disciples. Another plausible interpretation is that Jesus is responding to Nicodemus' earlier statement, "We know that you are a teacher come from God" (v. 2). Nicodemus had spoken as a representative of a group, implying that not all Pharisees were opposed to Jesus. Jesus mirrors this phrasing to contrast Nicodemus' group with those who truly know and testify.

Faith, Jesus implies, separates those who merely believe based on signs from those with genuine faith, rooted in understanding and conviction. The "earthly things" (v. 12) Jesus refers to are matters that occur in human lives, specifically the experience of being born again. Nicodemus struggles to believe even this teaching. How, then, could he believe when Jesus speaks of "heavenly things"—events in the realm of God, such as the incarnation? Jesus points ahead to His mission, including His incarnation and crucifixion, asking rhetorically: "If you cannot believe this, how will you believe that?"



하늘의 일이란 (13~18절)

하늘의 일은 오직 하늘에 계셨던 인자만이 아실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그 비밀을 예시로 알려주십니다.

그것은 구약에 등장하는 불 뱀 사건입니다(민 21:4-9).

앰뷸런스 차의 로고를 보면 뱀이 지팡이에 또아리를 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사진). 이것은 모세의 놋 뱀 지팡이를 모델로 합니다. 구원의 의미로 모세의 놋 뱀을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들린다(14)는 의미는 나무 십자가에 달리시고, 하늘로 승천하신다는 두 가지 의미입니다.

모세의 놋 뱀을 믿음으로 보았던 자들이 구원받았던 것처럼, 예수를 믿는 자마다 구원을 얻습니다.

이어서 소위 작은 복음서, 복음서들 속에 있는 복음이라는 별명을 가진 요한복음 3:16이 등장합니다.

성육신(하늘 일)의 동기사랑(아가페)입니다. 그 대상코스모스(세상)로 전 우주적입니다.

목적은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는 것입니다. 17절에 보충 설명하신다.

여기에는 두 가지 중요한 문제가 있습니다.

구원의 대상모든 사람인가? 신학적 질문으로는 보편적 구원(속죄)인가? 제한적 구원(속죄)인가?

모두가 구원 받으시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이지만, 결과적으로는 그를 믿는 자마다 입니다.

‘하늘의 일’의 목적이 심판인가? 구원인가?

십자가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십자가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완전하게 충족시킨 사건입니다.

마치 모세의 뱀이 심판이자 구원이었던 것처럼, 십자가 역시 구원이자 동시에 심판입니다. 나무에 달린 놋 뱀을 보는 자만 살 수 있었던 것처럼, 십자가를 보는 자만 사는 것입니다.

 

What are Heavenly Things? (John 3:13–18)

Heavenly matters can only be fully known by the Son of Man, who descended from heaven. Jesus explains this profound truth using an example from the Old Testament: the story of the bronze serpent (Numbers 21:4–9).

If you look at the logo of an ambulance, you’ll notice a snake coiled around a staff. This symbol is inspired by Moses’ bronze serpent, representing salvation. In this context, the term “lifted up” (v. 14) carries a dual meaning: Jesus being lifted up on the wooden cross and His eventual ascension to heaven.

Just as those who looked upon the bronze serpent in faith were saved, so too will everyone who believes in Jesus receive salvation.

This passage leads to the famous verse John 3:16, often called "the little gospel" or "the gospel within the gospel." The motivation behind the incarnation (a heavenly matter) is love (agape), and its scope is universal (cosmos, the world). The purpose is to grant eternal life, ensuring that none should perish (v. 17).


Two significant theological questions arise from this:

  1. Who are the recipients of salvation?Does salvation apply to all people? This touches on the debate between universal atonement and limited atonement. While God's desire is for everyone to be saved, salvation ultimately comes to those who believe in Him.

  2. Is the purpose of the "heavenly matter" judgment or salvation?The cross embodies a dual nature. It fulfills both God’s justice and love perfectly. Just as Moses’ serpent was both a symbol of judgment and salvation, the cross is simultaneously a means of salvation and judgment. Only those who look to the cross will live, just as only those who looked at the bronze serpent were spared.

The cross, therefore, holds the power to save and judge, revealing God’s justice and mercy in perfect harmony.



빛이신 예수님 (19~21절)

하지만 은혜를 입지 못한 자들은 결국 자신의 죄를 감추기 위해 어둠을 택합니다. 오히려 을 미워합니다. 그 이유는 자기의 행위가 악하기 때문에 모든 것을 밝게 비추는 빛을 싫어합니다.

하지만 진리를 따르는 자들은 빛 가운데로 나옵니다. 그 행위가 하나님으로부터 기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모두는 축복받은 자들입니다. 빛의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하나님이 주신 놀라운 은혜입니다.

우리는 땅의 일을 알 뿐 아니라, 심지어 하늘의 일까지도 알고 있습니다.

악을 행하고 어둠을 사랑하는 자가 아니라, 빛 가운데로 나오는 자들입니다.

그래서 기쁨이 있고, 평화가 넘칩니다. 어둠이 공격해 와도 빛이신 예수로 말미암아 우리는 승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넘치는 은혜입니다. 할렐루야!


Jesus, the Light (John 3:19–21)

Those who do not receive grace ultimately choose darkness to hide their sins. They even hate the light because their deeds are evil, and the light exposes everything.

However, those who follow the truth come into the light, as their deeds are rooted in God.


We are all blessed because we are children of the light.

This is the amazing grace given to us by God.

We not only understand earthly matters but even have insight into heavenly ones. We are not those who do evil and love darkness but those who step into the light.

Because of this, we experience joy and overflowing peace. Even when darkness tries to attack, we can triumph through Jesus, the Light. This is the abundant grace of God. Hallelujah!

Comments


한사랑 transe logo vertical white

1-253-642-7004

Contact@SeattleHansarang.com

33506 10th PL. S.

Federal Way, Washington 98003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Question/Suggestion?

Thanks for submitting!

©2020 by Seattle Hansarang Church Media Tea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