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2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아버지로 말미암아 여러 가지 선한 일로 너희에게 보였거늘 그 중에 어떤 일로 나를 돌로 치려 하느냐
32 but Jesus said to them, “I have shown you many good works from the Father. For which of these do you stone me?”
10:33 유대인들이 대답하되 선한 일로 말미암아 우리가 너를 돌로 치려는 것이 아니라 신성모독으로 인함이니 네가 사람이 되어 자칭 하나님이라 함이로라
33 “We are not stoning you for any good work,” they replied, “but for blasphemy, because you, a mere man, claim to be God.”
10:34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 율법에 기록된 바 내가 너희를 신이라 하였노라 하지 아니하였느냐
10:35 성경은 폐하지 못하나니 하나님의 말씀을 받은 사람들을 신이라 하셨거든
10:36 하물며 아버지께서 거룩하게 하사 세상에 보내신 자가 나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는 것으로 너희가 어찌 신성모독이라 하느냐
10:37 만일 내가 내 아버지의 일을 행하지 아니하거든 나를 믿지 말려니와
10:38 내가 행하거든 나를 믿지 아니할지라도 그 일은 믿으라 그러면 너희가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고 내가 아버지 안에 있음을 깨달아 알리라 하시니
10:39 그들이 다시 예수를 잡고자 하였으나 그 손에서 벗어나 나가시니라
34 Jesus answered them, “Is it not written in your Law, ‘I have said you are “gods”’? 35 If he called them ‘gods,’ to whom the word of God came—and Scripture cannot be set aside— 36 what about the one whom the Father set apart as his very own and sent into the world? Why then do you accuse me of blasphemy because I said, ‘I am God’s Son’? 37 Do not believe me unless I do the works of my Father. 38 But if I do them, even though you do not believe me, believe the works, that you may know and understand that the Father is in me, and I in the Father.” 39 Again they tried to seize him, but he escaped their grasp.
10:40 다시 요단 강 저편 요한이 처음으로 세례 베풀던 곳에 가사 거기 거하시니
10:41 많은 사람이 왔다가 말하되 요한은 아무 표적도 행하지 아니하였으나 요한이 이 사람을 가리켜 말한 것은 다 참이라 하더라
10:42 그리하여 거기서 많은 사람이 예수를 믿으니라
40 Then Jesus went back across the Jordan to the place where John had been baptizing in the early days. There he stayed, 41 and many people came to him. They said, “Though John never performed a sign, all that John said about this man was true.” 42 And in that place many believed in Jesus.
시골 성당에서 한 소년이 사제가 제의를 벗는 것을 신속하게 돕지 못했다는 이유로 뺨을 맞고 폭언을 들었습니다. 훗날 이 소년은 성장하여 카톨릭을 탄압하는 공산주의자가 됩니다. 이것은 유고슬라비아의 독특한 사회주의와 어떤 강대국의 블록에도 들어가지 않는 비동맹운동(非同盟 運動, 1961년, Non-Aligned Movement, NAM, 쁠럭불가담운동)으로 유명한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 Josip Broz Tito가 직접 밝힌 자신의 어릴 적 이야기입니다.
그 때 사제의 말 한마디에 크게 마음에 상처를 입은 티토는 훗날 카톨릭 전체와 대립하는 사람이 된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의 말 한마디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오죽하면 우리 속담에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는 말이 있겠습니까? 지혜서와 야고보서와 같은 성경에도 말과 관련된 수많은 가르침이 등장합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절입니다.
온순한 혀는 곧 생명 나무이지만 패역한 혀는 마음을 상하게 하느니라 (잠 15:4)
요즘 한국에서 벌어진 계엄과 탄핵에 관련된 재판이나 청문회를 보면 모두 말에 관한 논쟁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런 말을 했는지 안 했는지, 어떻게 말한 것이 진실인지에 대한 공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어떤 말은 사람을 살리기도 하지만 어떤 말은 사람을 죽입니다.
In a rural church, a young boy was slapped and verbally abused for failing to quickly assist a priest in removing his vestments. Years later, this boy grew up to become a communist who persecuted the Catholic Church.
This is a personal story revealed by Josip Broz Tito, the president famous for Yugoslavia’s unique socialism and for leading the Non-Aligned Movement (NAM) in 1961, which kept the country outside the influence of any major power bloc.
Deeply wounded by the priest’s words at that moment, Tito eventually became an adversary of the Catholic Church as a whole. This illustrates how a single word can have an immense impact,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No wonder there is a Korean proverb: "A single word can repay a thousand 'nyang' of debt." The Bible, in books such as Proverbs and James, also contains numerous teachings about speech. One representative verse states:
The soothing tongue is a tree of life,
but a perverse tongue crushes the spirit
(Proverbs 15:4)
Looking at recent trials and hearings in South Korea regarding martial law and impeachment, one can see that they are all disputes over words—whether certain statements were made, how they were said, and what the truth behind them is. Words have the power to save lives, but they can also destroy them.
말 때문에 위기를 맞는 예수님 (32~39절)
어제 본문을 보면 예수님은 밝히 정체를 말하라는 유대인들의 공세에 4가지로 답변하십니다.
1) 내 양은 내 음성을 들으며 나는 그들을 알며 그들은 나를 따른다.
2) 내가 그들에게 영생을 주노니 영원히 멸망하지 않을 것이다.
3) 만물보다 크신 아버지가 주신 양들을 내 손에서 빼앗을 자가 없다
4) 왜냐하면 아버지와 나는 하나이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이 이 말을 듣자마자 예수를 돌로 치려 합니다. 유대인들 입장에서는 당연한 반응입니다.
아버지와 나는 하나라는 말은 곧 내가 하나님이라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어떤 선한 일(칼라 : 도덕적인 선-아가다-을 넘어서는 선)을 한 것으로 나를 치려느냐고 묻습니다. 답이 궁색한 유대인들은 선한 일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고, 신성모독적 말 때문이라도 답변합니다. 예수님은 말씀으로 그들의 어긋난 생각을 깨뜨리십니다. 그것은 폐할 수 없는 성경이 사람을 신, 또는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였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시편 82편을 인용한 것입니다.
내가 말하기를 너희는 신들이며 다 지존자의 아들들이라 하였으나 (시 82:6)
그런 점에서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성자 Saint입니다.
성도라는 단어가 거룩한 자들의 무리라는 의미로, 성자들이 모인 무리가 성도인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우리 각 개인은 하나님이고 예수님이어야 합니다(이것은 신학적 의미가 아닙니다). 우리가 그렇게 중요한 존재이며, 거룩한 존재라는 의미입니다. 말씀을 믿는 자는 모두가 하나님 아들입니다. 신이신 하나님의 아들이니 곧 우리가 신적인(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존재입니다.
하물며 아버지께서 거룩하게 하사 세상에 보내신 자(나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는 것이 어찌 문제가 되느냐는 예수님의 반론입니다. 한낱 피조물인 인간을 하나님의 아들, 신이라고 부르셨다면, 진짜 하나님이시며 성자인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Jesus Facing Crisis Due to His Words (Verses 32–39)
In yesterday’s passage, we see that Jesus responds to the Jews’ demand for a clear declaration of His identity in four ways:
"My sheep listen to my voice; I know them, and they follow me."
"I give them eternal life, and they shall never perish."
"No one can snatch them out of my hand, for my Father, who has given them to me, is greater than all."
"For I and the Father are one."
As soon as the Jews hear this, they pick up stones to stone Jesus. From their perspective, this reaction is understandable.
When Jesus says, "I and the Father are one," He is essentially declaring that He is God.
In response, Jesus asks them, "For which of my good works are you stoning me?" (The Greek word kalos here implies not just moral goodness but an ultimate, transcendent goodness—agathos.) The Jews, unable to argue against His good works, justify their attack by accusing Him of blasphemy.
Jesus then uses Scripture to expose their flawed thinking. He cites Psalm 82:6, which states:
"I said, ‘You are gods; you are all sons of the Most High.’" (Psalm 82:6)
This verse implies that each of us, created in God's image, is a saint, a sacred being. The term "saints" refers to a gathering of holy ones, meaning that as a collective, believers are the community of saints (hagios).
In this sense, each individual is called to reflect God and Christ—not in a theological sense of divinity, but in the significance and holiness of our existence. Those who believe in God's Word are children of God and, as such, bear His divine image.
Jesus then argues: "If God called mere mortals ‘gods’ and ‘sons of the Most High,’ how can it be blasphemy when I, the one whom the Father has sanctified and sent into the world, declare myself to be the Son of God?"
If Scripture calls human beings "sons of God," then it is entirely reasonable for the true Son of God—Jesus Christ—to claim that title.
나의 말을 믿기 싫으면, 행하는 일을 믿든지 (37-42절)
예수님은 그들에게 끝까지 사랑과 인내로 생명의 길을 제시합니다.
먼저는 만일 내가 아버지의 일을 행하지 아니하거든 나를 믿지 말라(37)는 것입니다.
확신과 진실에 근거한 당당한 선포적 말씀입니다. 당연히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신다는 것입니다.
다음은 나를 믿든지, 아니면 행하는 일을 인하여 믿으라(38)는 것입니다.
나를 믿든지 는 곧 말씀 자체이신, 예수님의 존재를 말씀만 듣고도 믿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말씀만으로 못 믿는 낮은 수준의 성도들을 배려하신 것이, 바로 “행하시는 일”을 보고 믿는 것입니다. 행하시는 일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표적(세메이온)입니다. 표적을 행하시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유대인과 바리새인들이 말씀을 많이 아는 척하는데, 수준이 안되면 겸손하게 표적을 보고라도 믿으라는 것입니다.
이에 유대인들이 다시 예수님을 잡아 죽이려 하지만, 예수님은 유유히 그들의 손을 벗어나 요단강 저편으로 사라지십니다. 왜냐하면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세례 요한은 그저 예수님에 대한 말씀만을 전한 자입니다. 전혀 표적을 행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은 그리스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예수님은 말씀과 더불어 표적을 행하셨습니다.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세례 요한은 말의 증거로 충분했습니다. 요한이 예수님에 대해 말한 모든 것이 참이라는 것은 예수님의 삶을 통해서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결국 요한이 전한 예수님에 대한 말은 사람을 살리는 말이었습니다.
If You Do Not Want to Believe My Words, Then Believe the Works (Verses 37–42)
Until the very end, Jesus patiently and lovingly offers the path to life.
First, He declares:"If I do not do the works of my Father, do not believe me." (v.37)
This is a bold proclamation rooted in confidence and truth—affirming that He does indeed carry out the Father's will.
Next, He says:"Believe me, or at least believe because of the works that I do." (v.38)
To believe in Him means to trust in Jesus simply by hearing His words, as He Himself is the Word.
However, for those whose faith is too weak to believe based on words alone, Jesus offers another way: to believe by witnessing His works. These works, often referred to as signs (semeion), serve as visible evidence of His divine authority.
The Jews and Pharisees prided themselves on their knowledge of Scripture, yet Jesus challenges them: if you lack understanding, at least humble yourselves and believe by seeing the signs.
Despite this, the Jews once again attempt to seize Jesus and put Him to death. Yet, He escapes beyond the Jordan, as His time had not yet come.
Unlike Jesus, John the Baptist performed no miraculous signs—he simply bore witness to Christ through words alone, because he was not the Christ.
In contrast, Jesus both preached and performed signs, because He is the Christ.
Yet, John’s testimony about Jesus was enough. Everything he had spoken about Jesus proved to be true through Christ’s own life. Ultimately, John’s words about Jesus were words that gave life.
예수님이 잠시 피신한 요단강 건너편 동네는 베뢰아, 베다니 같은 지역으로 예루살렘과 다른 못 사는 사람들의 동네입니다. 하지만 요한은 그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었다고 기록합니다.
이것이 은혜의 아이러니입니다. 거룩한 도성인 예루살렘에는 구원이 없고, 가난하고 연약한 자들의 동네에 구원이 임합니다.
그들은 동일한 말을 듣고 예수를 믿었고, 유대인들은 동일한 말을 듣고 예수를 죽이려 합니다.
들은 말로 인하여 유대인은 죽음을 선택했고, 이방인 지역의 사람들은 생명을 선택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인간은 말 때문에 살고, 말 때문에 죽습니다.
The town across the Jordan River, where Jesus temporarily withdrew, included regions like Berea and Bethany—places inhabited by the poor, unlike Jerusalem. However, John records that many people in those areas believed in Jesus.
This is the irony of grace: Salvation was absent in the holy city of Jerusalem, yet it came to the towns of the poor and weak.
Both groups heard the same words, yet their responses were completely different—some believed in Jesus, while others sought to kill Him.
The Jews, upon hearing His words, chose death, while the people of the Gentile regions chose life.
Indeed, human beings live by words, and they perish by words.
Comments